투자
기업의 경영권 분쟁이 있을 때 우선주가 오르는 이유
우원우
2025. 5. 15. 09:34
728x90
반응형
2025.05.14 - [투자] - 25년 5월 14일 대한항공과 대한항공우의 주가추이 이유 분석
25년 5월 14일 대한항공과 대한항공우의 주가추이 이유 분석
2025.03.15 - [투자] - 2025년 상법 개정안: 총 정리 주요 내용과 영향 분석 2025년 상법 개정안: 총 정리 주요 내용과 영향 분석2025.03.13 - [투자] - [오늘의 경제 뉴스] 2025년 3월 13일 오늘의 경제 뉴스 [오
woowonwoo.tistory.com
경영권 분쟁이 발생하면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더 크게 오르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심리적·전략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 왜 우선주가 더 오르는가?
1. 📈 보통주보다 낮은 시총과 유동성 → 가격 탄력성
- 우선주는 **일반적으로 거래량(유동성)**이 적고, 시가총액이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 같은 재료(예: 경영권 분쟁)가 터져도 소수의 매수세만으로도 가격이 더 크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 흔히 말하는 **개미들 수급에 민감한 '소형 종목 효과'**와 유사한 현상입니다.
2. 🔍 우선주도 ‘지분율 계산’에 포함되기 때문에 기대감 유입
- 경영권 분쟁에서는 실제로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지만, 시장에서는 "총 발행주식 수"로만 계산하여 지분율 희석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 예컨대, 기존 대주주가 우선주로 자금을 조달하거나, 우호 세력에게 우선주를 배정해 지분율을 방어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작동합니다.
3. 💰 배당 기반의 수익 기대 + 추가적인 재평가 기대
- 우선주는 본래 배당 우선권이 있는 구조입니다.
- 경영권 분쟁이 벌어지면, 새로운 경영진이 들어와 배당을 늘릴 가능성, 기업 가치 재평가에 대한 기대가 생겨 우선주도 급등합니다.
- 특히 장기간 소외받던 우선주는 이런 이슈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4. 🧠 '같은 기업'이라는 점에서 심리적 동조화
- 우선주는 같은 회사의 다른 종류 주식입니다.
- 경영권 분쟁이 생기면 투자자들이 "보통주 못 사겠으니 우선주라도 사자"는 심리로 몰리면서 수급이 쏠립니다.
- 이게 우선주가 더 많이 오르는 트리거가 됩니다.
📌 실전 사례
기업상황우선주 반응
한진칼 | 조원태 vs KCGI & 조현아 분쟁 | 우선주 3배 이상 상승 |
삼성물산 | 제일모직 합병 이슈 | 삼성 계열 우선주들 급등 |
LG그룹 | 지주사 전환, 계열 분리 이슈 | LG우선주, LG전자우 급등 |
⚠️ 주의할 점
- 거래량이 작아 진입과 청산이 어렵고 스프레드가 큼
- 이슈 종료 후 빠르게 가격이 급락하는 경우 많음
- 우선주 자체의 가치보다 기대감으로만 움직이는 경향
👉 따라서 단기 트레이딩 목적이라면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하고,
중장기 투자자라면 경영권 분쟁의 방향성과 기업 펀더멘털도 함께 체크해야 합니다.
✅ 결론 요약
항목보통주우선주
의결권 | 있음 | 없음 |
경영권 분쟁 시 | 영향력 행사 가능 | 가격 급등 가능성 큼 (투기적 수요) |
유동성 | 보통 높음 | 낮은 편 |
변동성 | 상대적으로 낮음 | 상대적으로 큼 |
주의점 | 기업가치 판단 필요 | 수급·심리 변화에 민감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