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Firebase Cloud Functions에서 puppeteer 실행이 안될때가 있다.
하나는 chrome을 찾을 수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이고
하나는 메모리 부족 이슈로 인한 부분일 것이다.
만약 chrome을 찾을 수 없다면 프로젝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puppeteerrc.cjs 라는 파일을 만들어주고 아래 코드를 넣는다.
const {join} = require('path');
/**
* @type {import("puppeteer").Configuration}
*/
module.exports = {
// Changes the cache location for Puppeteer.
cacheDirectory: join(__dirname, '.cache', 'puppeteer'),
};
그리고 npm build를 재진행하고 배포해서 퍼펫티어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실행했는데 chrome을 못찾겠다는 에러가 아니고 터진다면
그건 메모리 이슈이다.
export const test = onRequest({
region: 'asia-northeast3',
timeoutSeconds: 600, // 10분으로 타임아웃 증가
memory: "4GiB", // 메모리 할당량 증가
},
위의 코드처럼 Request의 타임아웃과 메모리를 넉넉하게 할당해주고 다시 시도해보자
728x90
반응형
'개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UI 에서 HTML Text 쓰는법 (0) | 2025.01.03 |
---|---|
SwiftUI Environment 완전정복 (0) | 2024.12.31 |
자바스크립트로 웹 크롤링 하는 법 (0) | 2024.12.21 |
파이썬 웹 크롤링 강좌 (2) | 2024.12.21 |
Firebase Cloud Functions Deploy 해도 반영 안될때 (0) | 2024.12.21 |
파이썬 강좌 9 - 객체지향 (1) | 2024.12.20 |
파이썬 강좌 8 - 모듈과 패키지 (1) | 2024.12.20 |
파이썬 강좌 7 - 예외처리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