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개발자의 삶

(5)
[iOS] Firebase Crashlytics 버그 추적 팁 iOS Firebase Crashlytics 버그 트래킹 이슈 트래킹 할 때 몰랐던 방법을 알게되어 공유하려고 오늘도 블로그를 작성한다. 먼저 Crashlytics를 보다보면 에러의 줄 포인트를 정확히 짚어주면 다행이지만 아래 이미지와 같이 컴파일시 생성된 코드의 라인을 가리키는 경우가 종종있다.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워 애를 먹곤 했는데... 간단히 해결하는 방법이 있어서 공유한다. 먼저 XCode르 열고 상단 바에 Window -> Organizer 를 누른다. 그럼 윈도우가 하나 뜨는데 버그리포트를 볼 앱을 선택하고 좌측에 Crashes를 클릭 상단에 여러가지 필터가 있다. 특정 버전을 알수있고 가장 중요한것은 우측에 AppStore or TestFlight 로 설정해주는 것이다. 그럼 발..
FastLane을 도입해봅시다. FastLane을 도입해봅시다. 먼저 이 문서는 Mac 그리고 iOS 개발환경 기반으로 작성됐습니다. 참고 http://docs.fastlane.tools 1. 설치 Homebrew가 깔렸다고 가정하고 터미널에서 brew install fastlane 를 입력해줍니다. 도중 권한이 없다 같은 에러가 나오면 명령어 제일 앞에 sudo 를 붙여주면 됩니다. ⚠️ 프로젝트에 fastfile이 포함 됐다면 아래 내용은 무시하고 진행해주세요! ⚠️ 설치가 완료됐으면 fastlane을 설치할 프로젝트로 이동해 fastlane init 을 갈겨줍니다. 그럼 어떤 fastlane을 깔 것인지 선택하라고 나오는데 “엇 나는 다 하고싶은데...” 하고 당황하지마세요. 나중에 세팅할 수 있습니다. 그냥 4 를 입력 후 넘깁..
분할정복과 인생 분할정복 개발을 배우다 보면 문제 해결 알고리즘의 가장 기본이 되는 분할 정복이라는 개념을 배우게 된다. 영어로는 Divide and conquer 라고하며 개념을 설명하자면 어떤 하나의 커다란 문제를 바로 해결하지 않고 작은 여럿의 문제로 쪼갠 뒤에 해결된 해들을 더해 하나의 커다란 문제의 정답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해가 안간다고? 예를 들어보자. 가장 쉬운 예시로는 일반적으로 정말 많이 사용하는.. 우리들이 배웠던 곱셈의 방법이 있다. 2 곱하기 3의 정답을 구하는 것은 쉽다. 하지만 12521 곱하기 95437의 정답을 구하려면 한번에 계산하는 사람은 몇 없을 것이다. 아마 이런 방식으로 해결하겠지 12521 x 95437 ---------- 종이에 위와 같이 쓴 뒤에 가장 끝에 위치한 일의 자리의..
Enum 좋아하는 개발자들 주의사항 Enum을 자주 사용하는 개발자들이 주의하면 좋은 팁. switch문과 같이 사용할 때 default 를 사용을 의식적으로 피하기. 이렇게 개발하게 되면 추후에 Enum에 새로운 case가 추가되더라도 컴파일러단에서 모든 케이스에 예외를 추가해 줄 수 가있다. 만약 default를 남발했다면 놓치는 부분이 생길 것이고 그렇다는건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보게된다는 말이다.
개발자가 되고 싶은 비 전공자분들에게. 요즘 개발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현상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지금 존재하는 많은 직종들이 사라질거라 예견되면서 직업 파괴의 두려움이나 아직 직업을 갖지 못한 사람이 비교적 안전해보이는 직업을 택하는 과정이거나 아니면 그냥 미디어에 노출되는 개발자라는 직업이 멋져보여서이기도 하겠지. 그래서 몇 년 전부터 이력서를 검토하면 비 전공자 개발자들이 많이 보이기 시작했다. 다들 열심히 노력해서 개발 기술들을 배우고 있는 것은 알고 있지만 조금 안타까운 면이 있다. 오늘은 개발자로 첫 지원을 시작하고 있는 예비 개발자들을 위해 팁을 써볼까 한다. 내가 가진 기술만큼의 포트폴리오 간혹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보다보면 신입임에도 불구하고 정말 화려한 기술스택을 가진 분들이 지원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