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7 - [법이 필요한 사회] - 연봉협상에 관한 법적 정보
연봉협상에 관한 법적 정보
연봉협상에 대한 법률적 내용은 크게 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 근로계약법 원칙, 그리고 기업 내부 규정 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연봉협상은 법적으로 강제되지 않지만, 근로자의 권리를 보
brainbattle.site
길거리에서 시비가 붙었을 때 법적으로 알아야 할 사항
길을 가다가 의도치 않게 시비가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대방이 언성을 높이거나, 위협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심지어 폭력을 행사하려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며, 법적으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요?
1. 시비가 붙었을 때 절대 먼저 손대지 마라
일반적으로 싸움이 나면, 먼저 폭력을 행사한 사람이 가해자로 간주됩니다. 상대방이 도발하거나 심한 욕설을 하더라도 신체적 접촉을 먼저 하면 정당방위로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 관련 법령
- 형법 제260조(폭행죄)사람을 폭행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형법 제257조(상해죄)사람에게 상해를 입힌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Tip:
만약 상대방이 먼저 손을 댄다면, 바로 경찰을 부르고 증거를 확보하세요.
2. 욕설과 모욕에도 냉정해야 한다
상대방이 심한 욕을 하거나 모욕적인 발언을 하면 분노가 치밀겠지만,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먼저 욕을 했어도, 본인이 맞대응하여 욕설을 하면 쌍방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관련 법령
- 형법 제311조(모욕죄)공연히 사람을 모욕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2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정보통신망법 제70조(명예훼손죄)온라인상에서 모욕하거나 허위 사실을 유포하면 3년 이하의 징역,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Tip:
상대방이 욕설을 하면 녹음하세요. 모욕죄는 피해자가 직접 고소해야 처벌이 가능합니다.
3. 정당방위의 기준을 알아야 한다
상대방이 폭력을 행사했을 때, 자신을 방어하는 것은 정당방위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잉 대응을 하면 오히려 쌍방폭행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관련 법령
- 형법 제21조(정당방위)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을 방어하기 위한 상당한 이유가 있을 경우 처벌하지 않는다.
- 형법 제22조(과잉방위)방어 행위가 필요 이상으로 과할 경우, 형을 감경하거나 면제할 수 있다.
💡 Tip:
상대가 먼저 폭력을 행사했더라도, 필요 최소한의 방어만 해야 정당방위로 인정받습니다. 상대를 심하게 다치게 하면 과잉방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4. 경찰을 빨리 부르고 증거를 확보하라
길거리에서 시비가 붙었다면 즉시 112에 신고하세요.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촬영하거나 녹음을 하여 증거를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용한 증거 목록
✅ 주변 CCTV 영상 확보
✅ 스마트폰으로 녹음 및 영상 촬영
✅ 목격자 연락처 확보
💡 Tip:
경찰이 오면 **"상대방이 먼저 시비를 걸었고, 나는 정당방위였다"**는 점을 강조하세요.
5. 상대방이 억지를 부리면 명예훼손, 협박죄까지 고려하라
만약 상대방이 경찰에게 거짓말을 하거나, 허위 사실을 유포하며 본인을 가해자로 몰아가려 한다면 명예훼손죄, 무고죄, 협박죄까지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관련 법령
- 형법 제307조(명예훼손죄)공연히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 형법 제156조(무고죄)허위 사실을 신고하여 처벌받게 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 형법 제283조(협박죄)협박을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 Tip:
상대방이 허위 사실을 주장하면, 경찰 조사에서 강력하게 반박하고 증거를 제출하세요.
결론: 시비가 붙었을 때 최선의 행동 요령
✅ 절대 먼저 손대지 않는다 (가해자가 될 수 있음)
✅ 상대가 욕을 해도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 (모욕죄가 적용될 수 있음)
✅ 폭행이 발생하면 즉시 112 신고
✅ 스마트폰으로 녹음 및 영상 촬영하여 증거 확보
✅ 정당방위는 최소한으로만 행사 (과잉방위 금지)
✅ 상대가 거짓말을 하면 명예훼손, 무고죄로 대응
길거리에서 사소한 다툼이 예상보다 심각한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법적으로 유리한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법이 필요한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주인이 보증금을 안 줄 때 대처법 법적조치 (0) | 2025.02.08 |
---|---|
집주인이 집 보수를 해주지 않을때 대처 방법 법적 조치 (0) | 2025.02.08 |
지인에게 빌려준 돈 돌려 받는 방법 (0) | 2025.02.08 |
온라인 중고거래 사기 당했을 때 법적으로 대응하는 방법 (0) | 2025.02.08 |
연봉협상에 관한 법적 정보 (0) | 2025.02.07 |
법정 다툼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례: 손해배상 청구 소송 (0) | 2024.12.04 |
법정 다툼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례: 상가 임대차 분쟁 (1) | 2024.12.04 |
법정 다툼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례: 임금 미지급 소송 (1)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