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러가지 주제

경제 용어 총정리 (기축통화, 샤워실의 바보, 경상수지, 베블런 효과,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파레토법칙, 롱테일법칙, 공유지의비극, 분식회계, 역분식회계, 금리, 환율, 관세, FTA, 기회비용, 매몰비용, 한계효용,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중앙은행, 파킨슨의 법칙, 골디락스 경제, 정상재, 열등재, GDP, GNP)

728x90
반응형

2025.03.10 - [여러가지 주제] - 시냅스 연결법을 활용한 암기법

 

시냅스 연결법을 활용한 암기법

2025.03.10 - [여러가지 주제] - 천천히 걷는 것도 건강에 도움이 될까?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살펴보기 천천히 걷는 것도 건강에 도움이 될까?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살펴보기2025.03.10 - [여러가

woowonwoo.tistory.com

 

 

 

경제 용어 정리: 기초부터 심화까지

1. 기축통화 (Key Currency)

기축통화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통화를 의미하며, 다른 나라들이 외환보유고로 많이 보유하는 화폐를 뜻합니다. 대표적으로 미국 달러(USD), 유로(EUR), 일본 엔(JPY) 등이 있습니다. 기축통화는 국제 무역과 금융거래에서 널리 사용되며, 안정적인 가치와 신뢰성이 있어야 합니다. 미국 달러가 세계의 주요 기축통화로 자리 잡은 이유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브레턴우즈 체제와 미국 경제의 영향력 때문입니다.

2. 샤워실의 바보 (Fool in the Shower)

이 용어는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이 중앙은행의 정책 실패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개념입니다. 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고 과도한 개입을 하면, 오히려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마치 샤워실에서 온수와 냉수를 번갈아가며 조절하다가 적절한 온도를 찾지 못하는 바보와 같다는 비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3. 경상수지 (Current Account Balance)

경상수지는 한 나라의 수출과 수입, 그리고 국제적인 소득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경상수지는 크게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무역수지: 상품과 서비스의 수출입 차이
  • 본원소득수지: 해외 투자로 인한 소득 유입과 유출
  • 이전소득수지: 해외 송금 및 원조 등의 흐름

경상수지가 흑자이면 외화가 유입되고, 적자이면 외화가 유출됩니다.

4.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베블런 효과는 가격이 상승할수록 오히려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보통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명품과 같은 사치재의 경우 가격이 높을수록 부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경제학자 토르스틴 베블런이 제시한 개념입니다.

5. 인플레이션 (Inflation)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화폐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소비 증가로 인해 가격이 오르는 경우
  •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
  • 통화량 증가: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서 구매력이 증가하는 경우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경제 불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6. 디플레이션 (Deflation)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와 연관이 있으며, 기업의 수익 감소, 임금 하락, 소비 위축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있습니다.

7.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보통 경제가 침체되면 물가도 안정되지만, 특정한 경우에는 저성장과 고물가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원자재 가격 상승, 노동시장 문제, 정부 정책 실패 등이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8. 파레토 법칙 (Pareto Principle)

파레토 법칙은 80%의 결과가 20%의 원인에서 비롯된다는 원리입니다. 이는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가 발견한 것으로, 경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매출의 80%가 상위 20%의 고객에게서 나온다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9. 롱테일 법칙 (Long Tail Theory)

롱테일 법칙은 파레토 법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80%의 매출이 다수의 소규모 상품에서 나온다는 이론입니다. 이는 온라인 쇼핑몰과 같은 플랫폼에서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10. 공유지의 비극 (Tragedy of the Commons)

공유지의 비극은 개인이 자신의 이익만을 고려하여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결국 모두가 피해를 보게 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어업에서 모든 어부가 자신의 이익만을 고려하여 물고기를 남획하면, 결국 자원이 고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1. 분식회계 (Window Dressing Accounting)

분식회계란 기업이 재무제표를 고의로 조작하여 실적을 부풀리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2001년 엔론(Enron) 사태가 있습니다.

12. 역분식회계 (Reverse Window Dressing Accounting)

역분식회계는 반대로 기업이 이익을 줄여서 보고하는 회계 부정 방식입니다. 이는 세금 부담을 줄이거나 향후 실적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13. 금리 (Interest Rate)

금리는 돈을 빌릴 때 지불해야 하는 대가로, 중앙은행의 정책과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합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지만, 너무 낮으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4. 환율 (Exchange Rate)

환율은 한 나라의 화폐가 다른 나라 화폐와 교환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환율 변동은 수출입, 투자, 경제 성장 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15. 관세 (Tariff)

관세는 수입 상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정부의 세수를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16. FTA (Free Trade Agreement)

FTA는 국가 간 무역 장벽을 제거하여 자유로운 교역을 촉진하는 협정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한미 FTA, 유럽연합(EU)과의 협정 등이 있습니다.

17.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기회비용은 어떤 선택을 할 때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18. 매몰비용 (Sunk Cost)

매몰비용은 이미 지출되어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뜻하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무시해야 하는 비용입니다.

19. 한계효용 (Marginal Utility)

한계효용은 추가 소비 단위가 제공하는 만족도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보통 소비가 증가할수록 한계효용은 감소합니다.

20. 소비자물가지수 (CPI) 및 생산자물가지수 (PPI)

CPI는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이며, PPI는 생산자가 받는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21. 파킨슨의 법칙 (Parkinson's Law)

파킨슨의 법칙은 "업무량이 시간이 주어진 만큼 늘어난다"는 법칙으로, 조직이 불필요하게 비대해지는 경향을 설명합니다. 이는 경제 및 경영 관리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됩니다.

22.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골디락스 경제는 경제가 과열되지도, 침체되지도 않은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안정적인 성장과 적정한 인플레이션을 유지하는 경제 상태를 뜻합니다.

23. 정상재와 열등재

  • 정상재(Normal Goods):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가 증가하는 상품 (예: 고급 식재료)
  • 열등재(Inferior Goods):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가 감소하는 상품 (예: 인스턴트 라면)

24. GDP와 GNP

  •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재의 시장 가치
  • GNP(Gross National Product): 자국민이 생산한 최종재의 시장 가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