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렇게까지 노력했는데 실패하면 너무 억울할 것 같아."👉 일본어로: ここまで頑張ったのに失
2024.11.27 - [매일 한줄 일본어] - "너무 피곤해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 같아."👉 일본어로: 疲れすぎて何もできそうにない。(つかれすぎてなにもできそうにない, 츠카레스기테 나니모 데키소-
woowonwoo.tistory.com
"사람마다 좋아하는 음식은 다 다르잖아."
👉 일본어로: 人それぞれ好きな食べ物は違うじゃん。
(ひとそれぞれすきなたべものはちがうじゃん, 히토 소레조레 스키나 타베모노와 치가우쟌)
표현 분석:
- 人それぞれ (히토 소레조레)
- 사람마다, 각자.
- 人 (ひと, 히토): 사람 + それぞれ (소레조레): 각각
- 주어가 복수일 때 각자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표현.
- 예문:
- 趣味は人それぞれだ。
(しゅみはひとそれぞれだ, 슈미와 히토 소레조레다)
→ 취미는 사람마다 다르다.
- 趣味は人それぞれだ。
- 사람마다, 각자.
- 好きな (스키나)
- 좋아하는.
- 好き (すき, 스키): 좋아함
- 뒤에 오는 명사를 꾸밀 때 **好きな (스키나)**로 사용.
- 예문:
- 私の好きな映画はこれです。
(わたしのすきなえいがはこれです, 와타시노 스키나 에이가와 코레데스)
→ 내가 좋아하는 영화는 이거예요.
- 私の好きな映画はこれです。
- 좋아하는.
- 食べ物 (타베모노)
- 음식, 먹을거리.
- 食べる (たべる, 타베루): 먹다 + 物 (もの, 모노): 물건, 것
- 먹을 수 있는 것을 뜻하며,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
- 예문:
- 美味しい食べ物がたくさんある街だね。
(おいしいたべものがたくさんあるまちだね, 오이시이 타베모노가 타쿠상 아루 마치다네)
→ 맛있는 음식이 많은 도시네.
- 美味しい食べ物がたくさんある街だね。
- 음식, 먹을거리.
- 違う (치가우)
- 다르다.
- 違う (ちがう, 치가우): 차이가 나다, 일치하지 않다.
- 의견이나 성향이 다를 때 사용.
- 예문:
- 考え方が違うだけで、仲良くできるよ。
(かんがえかたがちがうだけで、なかよくできるよ, 칸가에카타가 치가우 다케데 나카요쿠 데키루요)
→ 생각이 다를 뿐이지, 잘 지낼 수 있어.
- 考え方が違うだけで、仲良くできるよ。
- 다르다.
- じゃん (쟌)
- ~잖아, ~이지 않니?
- じゃん은 **じゃない (쟈나이)**의 줄임말로, 친근한 대화체에서 사용.
- 말하는 사람이 상대방에게 동의를 구하거나, 자신의 말을 강조할 때 사용.
- 예문:
- 明日、休みじゃん。遊びに行こうよ。
(あした、やすみじゃん。あそびにいこうよ, 아시타 야스미쟌. 아소비니 이코-요)
→ 내일 쉬는 날이잖아. 놀러 가자.
- 明日、休みじゃん。遊びに行こうよ。
- ~잖아, ~이지 않니?
활용 예문:
- 음식 취향:
- 甘いものが好きな人もいれば、苦いものが好きな人もいる。それぞれ違うじゃん。
(あまいものがすきなひともいれば、にがいものがすきなひともいる。それぞれちがうじゃん, 아마이 모노가 스키나 히토모 이레바 니가이 모노가 스키나 히토모 이루. 소레조레 치가우쟌)
→ 단 것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쓴 것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어. 각자 다르잖아.
- 甘いものが好きな人もいれば、苦いものが好きな人もいる。それぞれ違うじゃん。
- 취미에 대해:
- 人それぞれ趣味が違うから、それを尊重するのが大事だよ。
(ひとそれぞれしゅみがちがうから、それをそんちょうするのがだいじだよ, 히토 소레조레 슈미가 치가우카라 소레오 손쵸-스루노가 다이지다요)
→ 사람마다 취미가 다르니까, 그걸 존중하는 게 중요해.
- 人それぞれ趣味が違うから、それを尊重するのが大事だよ。
- 의견 차이:
- 意見が違っても、お互いを理解しようとする姿勢が大切じゃん。
(いけんがちがっても、おたがいをりかいしようとするしせいがたいせつじゃん, 이켄가 치갓테모 오타가이오 리카이시요-토 스루 시세이가 타이세츠쟌)
→ 의견이 달라도 서로 이해하려는 자세가 중요하잖아.
- 意見が違っても、お互いを理解しようとする姿勢が大切じゃん。
비슷한 표현:
- それぞれ好みがある。
(それぞれこのみがある, 소레조레 코노미가 아루)- 각자 취향이 있다.
- 好みは十人十色だよ。
(このみはじゅうにんといろだよ, 코노미와 쥬-닌 토이로다요)- 취향은 열 사람에게 열 가지.
- みんな違ってみんないい。
(みんなちがってみんないい, 민나 치갓테 민나 이이)- 모두 다르고 모두 좋다.
문화적 배경:
일본은 집단조화와 개성을 동시에 존중하는 사회로, 타인의 의견과 취향을 수용하려는 태도를 중시합니다. "人それぞれ (히토 소레조레)" 같은 표현은 상대방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논쟁을 부드럽게 완화시키는 데 유용합니다. 😊
이 표현을 익혀두면 일상 속에서 상대방을 배려하는 대화로 매끄럽게 의사소통할 수 있어요!
728x90
반응형